-- 한국의 수목, 식물도감
링크 --
|
|
![]() |
|
![]() | ||||
가래나무 | 가마귀밥여름나무 | 가마귀베개 | 가마귀쪽나무 | 가막살나무 |
가문비나무 | 가솔송 | 가시나무 | 가시오갈피 | 가죽나무 |
가침박달 | 각시괴불나무 | 갈기조팝나무 | 갈매나무 | 갈참나무 |
갈퀴망종화 | 감나무 | 감탕나무 | 감태나무 | 개나리 |
개느삼 | 개다래 | 개머루 | 개박달나무 | 개버무리 |
개벚지나무 | 개비자나무 | 개산초 |
![]() | ||||
개쉬땅나무 | 개암나무 | 개오동 | 개옻나무 | 개잎갈나무 |
개회나무 | 갯대추 | 갯버들 | 거제수나무 | 검노린재 |
검양옻나무 | 검은재나무 | 검종덩굴 | 겨우살이 | 겨울딸기 |
겹벚나무 | 계수나무 | 계요등 | 고광나무 | 고로쇠나무 |
고욤나무 | 고추나무 | 고채목 | 골담초 | 골병꽃 |
곰딸기 | 곰의말채 | 곱향나무 |
![]() | ||||
공조팝나무 | 광나무 | 광대싸리 | 구기자나무 | 구상나무 |
구슬댕댕이 | 구실잣밤나무 | 구우즈베리 | 구주피나무 | 국수나무 |
굴거리나무 | 굴참나무 | 굴피나무 | 귀롱나무 | 귤 |
금감 | 길마가지나무 | 까치박달 | 까치밥나무 | 꼬리까치밥나무 |
꼬리조팝나무 | 꼬리진달래 | 꽃개회나무 | 꽃댕강 | 꽃싸리 |
꽃아까시나무 | 꽃아그배나무 | 꽝꽝나무 | 꾸지나무 | 꾸지뽕나무 |
![]() | ||||
나도국수나무 | 나도밤나무 | 나래쪽동백 | 나래회나무 | 낙상홍 |
낙엽송 | 낙우송 | 난티나무 | 남오미자 | 남천 |
낭아초 | 너도밤나무 | 네군도단풍 | 노각나무 | 노간주나무 |
노란해당화 | 노란만병초 | 노린재나무 | 노박덩굴 | 녹나무 |
누른종덩굴 | 누리장나무 | 눈갯버들 | 눈까치밥나무 | 눈잣나무 |
눈측백 | 눈향나무 | 느티나무 | 느릅나무 | 능금 |
능소화 | 늦싸리 |
![]() | ||||
사람주나무/ | 사방오리/ | 사스레피나무/ | 사시나무 | 사위질빵/ |
사철나무/ | 산가막살나무/ | 산겨릅나무/ | 산국수나무/ | 산닥나무/ |
산당화/ | 산돌배/ | 산딸기/ | 산딸나무/ | 산매자나무/ |
산벚나무/ | 산뽕나무 | 산사나무/ | 산수국/ | 산수유/ |
산앵도나무/ | 산유자나무/ | 산조팝나무 | 산철쪽/ | 산초나무/ |
산호수/ | 산황나무/ | 살구 |
![]() | ||||
삼나무/ | 삼지닥나무 | 상동나무/ | 상산/ | 상수리나무/ |
새머루/ | 새모래덩굴/ | 새비나무/ | 새우나무/ | 생강나무/ |
생달나무/ | 생열귀나무/ | 서부해당화/ | 서양측백/ | 서어나무/ |
서향/ | 석류/ | 설악눈주목/ | 섬개야광나무/ | 섬괴불나무/ |
섬국수나무/ | 섬댕강나무 | 섬단풍 | 섬딸기/ | 섬벚나무/ |
섬오갈피나무/ | 섬잣나무/ | 세잎종덩굴 |
![]() | ||||
소귀나무/ | 소나무 | 소영도리/ | 소사나무/ | 소태나무/ |
솔송나무/ | 송악/ | 쇠물푸레/ | 수국/ | 수국백당/ |
수리딸기/ | 수수꽃다리/ | 수양버들/ | 수양벚나무/ | 수정목/ |
순비기나무/ | 쉬나무 | 수트로브잣나무/ | 시닥나무/ | 시로미/ |
시무나무/ | 식나무/ | 신갈나무 | 신나무/ | 실거리나무/ |
싸리/ | 솔비나무 |
![]() | ||||
아구장나무/ | 아광나무 | 아그배나무 | 아까시나무 | 아왜나무 |
애기고광나무 | 애기말발도리 | 앵도나무 | 야광나무 | 야촌단풍 |
양버들 | 양버즘나무 | 양벚나무 | 여우버들 | 연필향나무/ 영주치자 |
영춘화 | 예덕나무 | 오갈피나무 | 오구나무 | 오동나무 |
오리나무 | 오미자 | 옥매 | 올괴불나무 | 옻나무 |
왕대 | 왕머루 | 왕모람 | 왕버들 |
![]() | ||||
왕벚나무 | 왕자귀나무 | 왕쥐똥나무 | 왕초피/ | 외대으아리 |
용가시나무 | 용버들/ | 우묵사스레피 | 우산고로쇠 | 위성류 |
유동/ | 육박나무 | 윤노리나무/ | 으름/ | 으아리 |
은단풍/ | 은사시나무/ | 은행나무/ | 음나무 | 이나무 |
이대/ | 이스라지/ | 이태리포풀라 | 이팝나무 | 인가목조팝나무 |
인동덩굴 | 일본목련 | 일본조팝 | 잎갈나무 |
![]() | ||||
차나무/ | 찰피나무/ | 참꽃나무/ | 참나무겨우살이/ 참느릅나무/ | 참빗살나무/ |
참식나무 | 참싸리/ | 참조팝나무/ | 참죽나무 | 채진목/ |
철쭉나무/ | 청가시덩굴/ | 청괴불나무/ | 청미래덩굴/ | 초피나무/ |
측백나무/ | 층층나무/ | 치자나무/ | 칠엽수/ | 칡 |
|
----
소나무 가지치기 배우기
![]() |
소나무 가지를 쳐야 하는데 방법을 알 수가 없다. 정원사를 구하려고 해도 너무 비싸다.
할 수 없이 내가 연구를 해서 해야겠다. 우선 모양을 잡아야 하는데 무엇부터 시작할 지.
사진으로 설명하는 곳이 있으면 좋겠는데... 웹에서 되는데로 찾아보자.
----
원가지는 치지말고 곁가지중에서 무성(복잡)하게 자라는 부분을 일단 잘라 성글게 해 놓으세요. 다음해에 곁가지에서 또 곁가지를 성글게 잘라 님이 보고좋은 형태로 ......
----
봄철 많이 돋아 나오는 새순 중에서 힘차게 뻗어 나오는 것을 골라 순을 1/3정도 자릅니다. 그 이유는 힘 없는 새순을 보호하여 말라 죽는 가지가 없도록함과 동시에 가지의 굵기를 고르게 하기 위함이며 한편 소나무의 쓸데없는 세력의 낭비를 막기 위함입니다.
전혀 자르지 않고 그냥 놔두면 가지와 가지 사이의 거리가 멀어 져서 감상가치가 떨어 집니다.
소나무의 특징중에 새싹은 잎이 떨어진 묵은 가지에서는 절대로 나오지 않으므로 잎이 달려있을 때 가지와 가지 사이를 보기 좋게 좁혀서 감상가치를 높혀야 합니다.
다음에 6월 초~7월 초 (빠를 수록 좋다) 에 걸쳐서 금년에 나온 새순을 밑에까지 자르면 그 끝 부분에서 새순이 돋아 나옵니다. (단, 소나무의 세력이 좋아야 하며 2주 정도 후에 새순이 나옴) 이 때 나온 새순에서는 길이가 짧은 잎이 달리며 감상가치가 좋습니다.
이것을 소나무의 단옆법이라 하며 소나무 분재에서는 필수입니다.
2년생이면 아직 전지할 시기가 아닙니다. 풀관리만 잘하시고 그냥두세요.
적송은 4년되는 해부터 관리를 들어가시고 반송은 접목묘를 구입하셨다면 그또한 3년은 그냥 두셔도 자연스레 반송의 형태가 될것입니다.
접목묘가 아니라면 인위적으로 순을 잘라 다복하게 만들어야 하는대 단엽이라 합니다.
시기는 지역과 나무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 6월중순 전후로 그해자란 새순을 반정도를 잘라주면 그곳에서 다시금 새순이 자라나면서 다복송이 되어가는 것을 볼수있답니다. 글로 설명하려니 어렵구요 전화한번 하세요 저녁8시 넘어서요..
나무 잘 키우셔서 뜻한바의 꿈을 이루세요. 자연을 사랑합시다.
단엽후 다시자라는 소나무의 순사진입니다.
하얀 박테리아와 함께 서식하며, 물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물주기는 마사토에 심었을경우 일반 분재나 나무는 겨울에는 2~3일에 한번씩 지금처럼 봄에는 하루에 한번, 여름에는 아침,
저녁으로 하루 2번 그리고 스프레이로 줄기에 분 표면에는 수시로 뿌려줘야 좋습니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는 건조하기때문에....하지만
소나무는 10일에 한번씩 물을 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물빠짐이 좋도록 가는 흙은 채로 쳐서 심습니다(분갈이시).
1. 물은
언제줘요? => 위에서 답변 드렸고요. 10일에 한번
2. 가지는 언제 쳐줘요?
■ 전정과 순집기
가지를 자르는 1년
cycle을 알면 언제든지 계절에 맞는 분재 작품을 감상하면서 손질을 할 수 있다. 가지 자르기는 나무의 성장이 멈추었을 때(11월부터 이듬해
3월) 가지를 자르는 것이 있고, 성장기 즉 자라는 기간 (4월에서 9월까지)에 가지를 자르는 것이 있다. 성장이 멈추었을 때의 가지치기를
전정(가지치기)이라 하고 성장할 때의 가지치기를 순 집기, 햇순 자르기, 순 치기라고 한다.
(가지치기, 소나무 단엽: 게시물
125번)
3. 거름은 언제 줘요?
송백분재:가을 늦께까지(10월 초순까지)가을거름 중심으로 줍니다.
-햇빛량에
비례해서 거름량을 조절합니다.
-보통 유기질 비료인 깻묵 덩어리거름을 10cm간격으로 줍니다.
-잡목분재나 송백분재는 질소질 성분
중심의 거름을 주나 꽃피고 열매달리는 분재는 질소질+인산질 거름을 줍니다. 단 소재를 키울때는 가지를 많게하고,가지를 빨리 굵게 하기위해 인산질
비료를 줍니다.
-장마철에는 노지에서 키우는 분재는 거름을 모두 걷어 냅니다(물빠짐 때문에).
4. 잡초는 언제
뽑아줘요?
- 보기좋게 하기 위해서는 상시 뽑아주셔도 됩니다.
5. 병 해충은 언제 해줘요?
-.이른봄 모든 나무의
새싹이 나와 잎의 크기가 정상 크기가 되면 정량 소독을 해주는 것으로 부터 1년간의 병충해 관리가 시작 된다.
-.잎이 점점 굳어져
강해지면 정량 소독 보다는 좀 강하게 농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분재는 먹는 농산물과 달리 농도를 강하게 하더라도 문제가 없다.
-.성장기인 봄,여름,가을에는 병해충이 발생하면 감상가치가 없어지므로 모든 병해충의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나무가 죽는 것의 90%는 생리적 질병으로 죽는다. 병해충에 의해 죽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병해충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감상가치가 없어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한번 소독을 하면 약효가 20~30일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병해충 예방을 위해서는 매월 한번씩 예방소독을 해주면 된다. 소독약으로는 3가지의 살충제(진딧물 약, 응애 약, 개각충 약)와 살균제를 준비하고 9월까지 매월 교대로 뿌려준다.
즉 진딧물 약+살균제와
응애약+살균제를 격월로 뿌려주고 크리스마스 때나 봄 새싹 나기전에는 개각충약+살균제를 뿌려 주거나 낙엽지는 나무의 경우에는 석회유황합제를 뿌려
준다. 특히 크리스마스때나 이른봄 새싹이 나기전 소독시에는 모든 낙엽지는 나무에 석회유황합제를 뿌려주면 모든 병해충 예방 뿐만 아니라 나무의
피부도 고와지므로 좋다. 단 냄새가 많이 나 아파트에서는 사용이 힘들고 상록수에는 잎의 감상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크리스마스때 정량의 4~5배의 진한 농도로 소독해준다. 이때는 개각충약+살균제나 석회유황합제로 소독해 주는것이 좋다.
-.미심쩍은 경우에는 새싹나기전 (2월)에 다시 한번 소독해 준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정보 (0) | 2012.12.06 |
---|---|
[스크랩] 마늘뿌리 효소담기 (0) | 2012.04.09 |
음악저작권협회(음원 음악 검색기) (0) | 2012.03.13 |
[스크랩] 맛은 덤이요~뼈와 두뇌에좋은 밥도둑, 꽁치무조림>_< (0) | 2012.03.03 |
[스크랩] 찜요리의 최고봉! 친정엄마 손맛담긴 돼지갈비찜 레시피>_< (0) | 2012.02.24 |